■ 배경
 ▶ 1960.9
            주요 산유국들이 모여 원유 가격과 생산량 조절을 위해
            석유수출국기구(OPEC)를 결성함.
 ▶ 1973.10
            이집트와 시리아는 3차 중동전쟁(1967)에서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며 4차
            중동전쟁(욤 키푸르 전쟁)을 일으켰고,
 ▶ 이에 OPEC 가입국들은 이스라엘을 지지한 미국과 서방 국가들에 대한
              석유 공급을 축소하고 가격을 대폭 인상하며, 석유를 정치적 무기로
              활용하기 시작함. 
          
            ■ 1차 석유 파동
 ▶ 석유 가격은 1년 이내에 4배로 급등했고, 전
            세계적으로 급격한 물가 상승이 일어남.
 ▶ 한국 정부는
              중화학공업화를
              지속하며 경제 자립과 수출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, 
 - 1970년대
            에너지 절약 캠페인과
 - 1974.1 긴급조치 3호를 통해 물가 안정과 소비 절약을 유도하며 위기에
              대응했음. 
          
            ■ 이후
 ▶ 1975년
            하반기부터 세계 경제 회복과 함께
 ▶ ~1978 수출 확대와
              중동 건설 붐
              등으로 한국 경제는 다시 고도성장 국면에 진입했으나, 
 - 인플레이션과 부동산 투기 심화, 중화학공업
            쏠림 현상이라는 산업 간 불균형 문제가 나타남.
 ↘ 경제 성장으로 소비가 늘고(수요 증가), 이에
              비해 상품과 서비스의 공급이 부족해지면서(공급 부족) 물가가
             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(수요견인인플레이션)이 발생
 ▶ OPEC은 1차 석유파동을 통해 원유 시장에서
            가격 결정권을 확보했고,
 ▶ 1978
            이란 혁명으로 인해
            2차 석유파동이
            시작됨.
          
 
      